반응형
명상에 답이 있다
▼ 쉬운 이론 + 실용적인 명상실습… 현대인에 최적화된, 가장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명상입문서 ▼ 휴대폰과 PC로 편리하게 들을 수 있는 큐알코드 제공 ▼ 명상치유계 국내 최고권위자가 쓴 ‘스트레스 많은 한국인을 위한 맞춤 명상서’
- 저자
- 장현갑
- 출판
- 담앤북스
- 출판일
- 2018.10.31
최근에 추천받아서 구매한 책
괴로움의 전파 경로
1) 교감신경계(SNS)
2)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만성적인 스트레스 -> 코티솔 -> 해마의 기능 억제
세타파 : 어떤 통찰이나 직관적 깨달음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breakout, 브레이크 아웃)
1975년에 벤슨은 "이완반응(relaxation response)"이란 제목의 포켓북을 1975년에 출간, 이를 계기로 서양의학의 명상도입이 시작
이완반응 - 예스24
심신의학의 창시자 허버트 벤슨,세계 최초로 ‘명상’의 과학적 가치를 발견하다.한때 당연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당연한 상식이 된 것의학만능주의 시대에 의학의 한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다
www.yes24.com
최근에 들어와 서양의학에서는 이완반응을 일으키는 명상수련과 개인의 믿음(철학적 의미나 종교적 믿음)이 서로 결합하면 스트레스에 의한 병적 증후들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많은 종류의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입증되었다.
- 생존반응: 싸움 or 도피
- 위협대상: 예전에는 호랑이나 사자, 현재는 이웃/협력자/동료/경쟁자(사람)
- 양육자와의 관계 = 뇌전체를 연결하고 성장 촉진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
- 아기가 생리적 자극과 성장을 의존하는 사람에게서 분리되면, 아기는 불안하고 고통스러워
- 상호작용은 아기의 교감계를 자극하고 산소 소모, 에너지 대사, 유전자 표현을 증진
- 영아기 동안의 관계가 영아의 뇌를 조절하는 것은 분명
- 미성숙한 뇌가 양육자에게 정서적, 신체적 생존을 완전히 의존하는 시기에 양육자와 잠깐만 떨어져도 시상하부-뇌하수체-아드레 날린(HPA)반응이 유발됨
- HPA축 기능의 활성화 ------> 스트레스 호르몬 증가
- 심리적 안정 ------> 애착호르몬인 옥시토신의 증가, HPA축의 기능이 억제
- 초기 애착이 건강하면 사회적으로 조절되는 생리적 과정이 일생동안 마련됨 ----> 건강한 심박 조절은 애착 패턴과 관계
- 즉, 모아 애착이 안전형일수록 아기의 심장 박동은 규칙적이고 잘 조절. 이것은 HPA축과 스마트 미주가 경험의존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
- 초기 발달 단계에서 항상성의 과정과 HPA축이 무질서해지면 나중에 정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
"한 인간이 건강한 정서조절력과 자기 존중감이 발달하려면
아기는 엄마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내면화된 엄마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출처: 뇌기반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