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랑중독

by 슬기로윤 2024. 4. 19.
반응형
 
사랑중독
『사랑중독』은 사랑중독의 뿌리와 심리학적 기원을 자세히 다루고 있고, 중독의 뿌리를 뽑아내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심리서이다. 나날이 성장하는 느낌보다는 침체감과 퇴보하는 느낌 그리고 심적 에너지가 소진되는 느낌이 든다면 그 관계는 중독적 요소가 강하다는 의미이며 건강하지 못하다는 증거다. 애정 대상과의 관계에서만 삶의 의미를 찾으려 애쓰고, 상대방의 사랑과 인정에서만 자신의 존재 가치와 의미를 찾으려 한다면 분명히 중독과 같은 병적 상태에 빠진 것이다. 이 책에서는 결국 자기 안의 빈 공간과 정서적 결핍을 채울 수 있는 사람은 다름 아닌 자신뿐임을 사랑중독자들이 깨닫도록 이끈다.
저자
BRENDA SCHAEFFER
출판
이너북스
출판일
2010.12.24

 

홀로서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지 않을까..

번역본이고 오래된 책인데 잘 읽히는 장점이 있다.

 

책 읽으면서 기록/정리 용으로 남기는 글입니다.

 

 

중독의 3요소

1. 해로운 신체적 혹은 정신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특정 행동을 지속하는 것

2. 강박관념과 집착에 빠지는 것

3. 통제 불능감을 갖는 것

+ 내성, 금단 증상

--- 중독은 '기분을 좋게 하는' 1개 이상의 화학 물질에 의해 유발된다

 

쾌락(황홀경) = 각성, 포만감, 판타지

 

중독행동 - 강박적인 의식에 몰두(자발적인 의사x)

 

욕구=타당한 것

욕구충족이 지나치면?=중독(일상생활에 지장, 방해)

 

[건강하지 못한 의존]

사랑중독=삶에 대한 통제감을 얻으려는 시도

                         (대상에게 힘을 실어줌) =================> 통제감 상실

 

관계가 건강한지 그렇지 못한지를 판단하는 핵심요소 

 그 대상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고,

우리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고,

심지어 우리를 멀리하고 위협하는 경우에 우리가 어떤 느낌을 갖느냐에 달려 있다.

 

건강한 관계에서는 서로를 이해, 인정, 존중하며 상대방을 본인의 뜻대로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리머란스(limerance)

; 심리학자 도로시 테노브가 만든말

; 애정 대상에 대해 무의식적인 강렬한 사랑 중독을 보이는 인지, 정서 상태

; 강박적 형태의 낭만적 사랑

; infutation과 비슷- 사랑의 열병

    (영영사전: a feeling of foolish or very strong love or admiration for someone or something)

 

섹스중독

- 패트릭 칸스 : 다른 사람을 성적으로 학대하는 행동은 일방적이며 상대방을 대상화하여 불만족스럽고 수치스럽게 만드는데, 이러한 행동은 두려움에 기반을 둔 것으로 섹스 중독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중독적인 사랑 = 생존에 필수적

 

중독적인 사랑의 치료단계

(1. 두려움 인식, 2. 중독적인 사랑에 빠져드는 이유 이해)

 

중독적인 사랑

= 자기중심적, 자기만족적

= 낮은 자존감을 수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