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ci검사

by 슬기로윤 2024. 1. 12.
반응형

tci검사를 무척이나 활용하게 될 일이 많아 공부삼아, 정리해본다. 

 

https://maumsarang.kr/maum/

 

(주)마음사랑

올바른 검사사용 캠페인 제대로 알고, 바르게 쓰자

maumsarang.kr

 

마음사랑이라는 곳에서 mmpi-2 및 tci를 판매중이다.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검사 2가지!!

 

TCI검사의 제작자는?   클로드 로버트 클리닝거(cloninger) 박사!!! 유전 생물학자..? 이던가.. 생물 심리학자이던가... 그렇다고 한다. 

 

@ 기질의 4가지 차원에는?

 

-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 어떤 상황에서 자동으로 보이는 정서적인 뚜렷한 패턴

- 인내력 : 변연계와 뇌전전두엽 사이에서 기질과 성격을 잇는 역할

  • 자극추구(엑셀/달리고 싶은 기능) : 행동을 하게 하는 ----------- 도파민 " 새로운 자극이 들어왔을 때,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보상적인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행동을 이끌어냄)
  1. 탐색적 흥분/관습적 안정성
  2. 충동성/심사숙고
  3. 무절제/절제 : 절제를 하지 않는 경향, 만족지연x, 욕구-충족이 중요, 자신이 즐거움과 재미를 느끼는 일이 있으면 지칠 때까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와 시간 등을 모두 쏟아 넣는 행동 특성/
  4. 자유분방/질서정연 : 자유분방/질서 정연: 잘 참음(좌절), 욕구만족 지연, 분노를 밖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    adhd의 부주의와 충동성 :신경발달상의 문제, 기능적 문제 - 뇌와 관련
  •    tci에서 충동성, 무절제 : 반응방식, 반응경향, 반응행동
  • 위험회피(브레이크/멈추고 싶은 기능) : 행동을 멈추게 하는---- 세로토닌  " 위험한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1. 예기불안/낙천성
  2.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높음/낮음)
  3. 낯선사람에 대한 두려움(높음/낮음)
  4. 쉽게지침/활기넘침
  • 사회적 민감성(정서적 연료통/사회적 보상 신호와 감정에 대한 민감성을 채울 수 있는 양) ---- "사회적인 보상과 타인의 감정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이전에 보상적이었던 친숙한 관계를 유지)
  1. 정서적 감수성 : 마음이 여리고, 감수성이 예민, 정에 약함
  2. 정서적 개방성 : 잘 드러내는
  3. 친밀감/거리두기 : 친밀감/거리두기-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에 관심이 적음,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중시, 타인의 거부나 모욕에 크게 영향을 안 받음
  4. 의존/독립 : high 정서적 지지와 승인에 관심, 관심, 응원 받고 싶고....,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 low 독립적, 사회적 압력에 쉽게 굴복하지 않음
거리두기: 거리두기는 사회적 관계를 맺는데 관심이 적거나, 혹은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공간과 시간을 중요하게 여기며, 타인과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자신만의 생각과 가치관을 중시합니다.
의존: 의존은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타인과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보다 친밀하고 지지적인 관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의존적인 사람들은 타인의 조언이나 도움을 필요로 하며, 대인 관계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싶어합니다

 

거리두기와 의존 : 상반된 개념처럼 보인다. 하지만 같은 방향으로 가있을 때가 있다

사람들의 사회적 민감성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거리두기가 필요하고 유용하며, 다른 상황에서는 의존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을 할 때는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지만, 어려운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찾을 때는 타인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각의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민감성을 조절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습니다.

 

  • 인내력 (persistence) : 보상이 없더라도 한 번 보상된 행동을 일정한 시간 동안 꾸준히 지속하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는 개인이 얼마나 끈기 있게 목표를 추구하고 어려움에 대처하는지를 측정합니다. 성공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낸 행동을 지속하려는 성향

높으면 성공경험에 민감, 낮으면 실패경험에 민감 -> 한번 성공했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 실패했던 경험을 다시는 반복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

 

인내력의 하위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면(Eagerness of effort): 높은 점수를 받는 사람은 노력하고 일에 힘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끈기(Work Hardened): 실패나 좌절에도 불구하고 일을 계속하며, 어려움에 부딪히면 포기하지 않습니다/낮을 경우 실패나 좌절 피로, 장애물에 부딪치면 쉽게 포기하거나 금방 현실과 타협하려는 경향,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게 어려움
  3. 성취에 대한 야망(Ambition): 성취를 추구하고 목표를 이루려는 강한 의지가 있습니다.
  4. 완벽주의(Perfectionism): 일을 완벽하게 해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자극추구high 위험회피low : 자극추구의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는(충동적, 공격적, 외향적, 분노를 직접적으로 표현)
  • 자극추구high 위험회피high : 접근-회피, 신경증적 행동, depressive mood의 가능성 고려(스스로가 힘들다...)
  • 자극추구low 위험회피low : 태평, 편안, 자신감
  • 자극추구low 위험회피 high : 내향적, 안전지향적

 

  • 자극추구high 사회적민감성 low
  • 자극추구high 사회적 민감성high : 잘드러내는
  • 자극추구low 사회적민감성low : 관계보다 개인생활 중요시
  • 자극추구low, 사회적 민감성high : 관습, 친숙한 관계 중요

 

  • 위험회피 high 사회적민감성low  : 관계에서의 처벌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회피와 고립 선택
  • 위험회피high 사회적민감성high : 친밀하기를 원하나 사회적 거절 두려워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 위험회피 low 사회적민감성low
  • 위험회피low 사회적민감성high

@ 성격의 3가지 차원에는? 자기개념에서의 개인차

  • 자율성(self-directedness) : 자율적 개인 / 자기결정력+의지력 / 자신의 목표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 낮다면? 미성숙 or 성격장애의 impression
  1. 책임감/책임전가 :  high/low
  2. 목적의식 :  삶의 의미나 방향--- high /low 만족 지연이 어려움
  3. 유능감/무능감 :  high/low
  4. 자기수용/자기불만 :  high/low 심리적 고통 높은, 자존감 낮고,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5. 자기일치 :  high/low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어려움, 의지력이 약함
  • 연대감(cooperativeness) : 자신을 '인류 혹은 사회의 통합적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동일시하는 척도 / 
  1. 타인수용
  2. 공감/둔감
  3. 이타성/이기성
  4. 관대함/복수심 : /low "복수" - 드러내거나 위장하거나, 수동-공격 포함 (관대함 방향 : 
  5. 공평/편파 : high 일관되게 공평한 방식, 공정한 방식으로 대하기, 정직, 양심적/high 동정, 자비심 많은, 관대한, 건설적인 관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 /low 기회주의적 - 할수 있는 일은 무엇인든지!
  • 자기초월 (self-transcendence) : '우주의 통합적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동일시하는 척도 / 개념이해가 어려운, '영성'과 관련
  1. 창조적 자기망각/자의식 : 관계속에 깊이 몰입할 때/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할 때(무아지경, 절정, 통찰)/대인관계나 일에 집중할 때 '개별성'에 대한 인식을 늘 유지, 예술이나 아름다움에 대해 깊은 감동에 빠지는 일이 별로 없다
  2. 우주만물과의 일체감 :high 세상을 더 좋게-희생을 감수-이상주의자/ low 개인주의-자연이나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x //////점수가 낮을 때 
  3. 영성수용/합리적 유물론: hign 분열형 성격장애의 마술적 사고 혹은 영적 신비주의자 / low 유물론, 객관적 경험주의

 

*우주만물과의 일체감이 낮을 때 애착외상 고려, 자율성/연대감/자기초월 점수가 모두 낮을 때 애착외상 고려일 듯

 

Chat gpt에 물어서 가져온 특성(자율성과 연대감이 모두 낮다면?)

 

자율성(Self-directedness)과 연대감(Cooperativeness)의 점수가 모두 30 이하일 때, 이는 해당 개인이 몇 가지 도전적인 성격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자율성 (Self-directedness):
    • 책임감, 목적의식, 유능감, 자기수용, 자기일치 등을 측정하는 자율성은 낮은 점수일수록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책임감이 낮아 목표를 추구하거나 일상적인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목적의식이 낮아 명확한 목표나 방향성이 부재할 수 있습니다.
      • 유능감이 낮아 업무나 과제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자기수용이 낮아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연대감 (Cooperativeness):
    • 타인수용, 공감/둔감, 이타성/이기성, 관대함/복수심 등을 측정하는 연대감은 낮은 점수일수록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 타인과 협력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기적이거나 타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관대하지 못하고 복수심이 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이 두 가지 모두 낮다면, 개인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내적 동기부여와 외적 협력, 타인과의 관계 형성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이나 개인화된 지도를 통해 자기개선과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Chat gpt에 물어서 가져온 특성(자율성과 연대감 높고, 자기초월이 낮다면?)

 

자율성과 연대감이 높고 자기초월이 낮을 때, 이러한 특성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자기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높은 적응력을 보일 수 있지만,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일부 자아를 초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자율성 (Self-directedness):
    • 높은 자율성은 목표를 달성하고 자기 주도적인 행동을 나타내는데, 이는 책임감이 강하고 목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높은 자율성은 업무나 일상 생활에서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연대감 (Cooperativeness):
    • 높은 연대감은 타인과의 협력, 공감, 이타성, 관대함 등을 나타냅니다.
    •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팀 활동이나 협업에서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3. 자기초월 (Self-transcendence):
    • 낮은 자기초월은 자아를 넘어서는 경험이나 더 큰 의미를 찾는 데 어려움을 시사합니다.
    • 일상적인 활동에서 자아 중심적인 행동은 효과적일 수 있지만, 심리적인 발전이나 깊은 의미 탐구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은 협력적이면서도 자기 주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깊은 내면의 성장이나 심리적인 변화에 도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상담이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이러한 측면에 대한 극복과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hat gpt에 물어서 가져온 특성(연대감이 높고, 자율성이 보통이라면?)

 

 

TCI(Trichloroethylene) 기질 및 성격검사에서 연대감이 높고 자율성이 보통일 때, 이는 해당 개인이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일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연대감이 높음: 연대감이 높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민감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이나 필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중요시할 수 있습니다.
  2. 자율성이 보통: 자율성이 보통이라는 것은 해당 개인이 일상적인 상황에서 일을 스스로 처리하고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자율성이 너무 높지 않아서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이나 조언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일을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팀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대감이 높고 자율성이 보통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면서도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들은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도 개인적인 의견이나 목표를 중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들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tci에서 기질에서 질서정연(자극추구의 4항목)과 목적의식(자율성의 2항목) 은 상충된다 느껴졌다. 둘다 같은 방향이면, 욕구만족 지연을 잘하는 기질임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방향이 상실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자신의 욕구 만족 지연을 잘 못하는 건가? chat gpt에 다시 물어보기로

 

물어본 결과

  기질이 질서 정연(자극 추구의 4 항목)과 목적 의식(자율성의 2 항목) 사이에서 상충된다는 것은 흥미로운 관찰입니다. 기질이 자극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목표를 달성하려는 욕구가 상실되는 상황은, 실제로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기질은 개인의 성격 특성을 나타내며, 각기 다른 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 가지 요소가 강조될 때 다른 요소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극 추구가 강조될 때 목표 달성에 필요한 몰입과 결단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자극을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상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 기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자극 추구와 목표 달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지적인 인식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목표 달성을 위해 자극을 관리하고 몰입을 유지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는 자극을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자기 인식과 조절, 그리고 필요한 경우 목표를 수정하거나 조정하여 기질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능숙해질 수 있습니다.

 

 
You(재질문을 해보았다)
질서정연은 자극추구의 소항목이야, 이건 만족 지연을 잘하는 기질인데, 목적의식도 낮으면 사실은 욕구 만족 지연이 안되는 거잖아? 이 차이가 어떤건지 궁금해
 
 

네, 맞아요. 질서 정연은 자극 추구의 하위 항목 중 하나이며, 기질이 만족 지연을 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목적 의식이 낮으면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목표 설정과 이를 위한 계획 및 노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목적 의식이란 개인이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몰입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목적 의식이 높을수록 개인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노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기질이 질서 정연을 갖추고 있더라도 목적 의식이 낮으면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욕구 만족 지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기질의 다양한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행동과 특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만족 지연을 잘하는 기질이라 할지라도 목적 의식이 낮으면 여전히 욕구 만족을 위한 효과적인 목표 설정과 노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기질적으로 질서 정연 방향에 있다 하더라도, 목적의식이 낮다고 하면 목표를 이루기 위한 욕구 지연은 안할 수 있다. (참을 수 있는데 안참은다! )

 

똑똑하네.. chat gpt

 

tci에서 관대함과 공평은 방향이 같아야 되는거 같은데... 그게 아닐 경우, 잘 이해가 안댐, chat gpt에 물어보기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는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관대함과 공평은 TCI의 성격 요소 중 하나로 측정됩니다.

  1. 관대함: 관대함은 다른 사람들에게 이해심 있고 너그럽고 인정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실수나 부정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데 높은 수준의 관심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2. 공평: 반면에 공평은 사회적인 규범과 원칙을 존중하고 정의롭고 공정한 행동을 나타냅니다. 공평함이 높은 사람들은 객관적이며 공정한 기준에 따라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관대함과 공평은 서로 다른 측면의 성격 특성을 나타냅니다. 관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관대함은 때로는 개인적인 관점에서 나타날 수 있고, 특정 상황에서는 사회적인 공평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공평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공평함은 때로는 엄격하게 나타날 수 있고, 이는 때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관대하지 않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CI에서 관대함과 공평이 서로 다른 특성으로 측정되는 것은 각각의 개념이 서로 다른 측면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개인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1. 관대함이 낮고 공평이 높은 경우:
    • 이런 경우에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데는 그렇게 관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사회적인 규범과 정의에는 높은 존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들의 실수나 부정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데는 조금 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사회적인 규범을 따르고 공정한 행동을 중시할 수 있습니다.
  2. 관대함이 높고 공평이 낮은 경우:
    • 이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데는 관대하지만, 때로는 사회적인 규범이나 공정성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의 감정이나 상황에 더 중점을 두고, 상황에 따라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관대하게 대할 수 있지만, 이는 때로는 사회적인 공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관대함과 공평은 각각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며, 두 가지 특성 모두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각각의 특성은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여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율성과 연대감이 낮다면?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는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로, 자율성과 연대감은 그 중 일부입니다. 보통 TCI에서 자율성은 자기 통제와 독립성을 나타내며, 연대감은 사회적인 조화와 타인에 대한 관심을 나타냅니다.

만약 TCI 검사에서 자율성과 연대감의 백분위가 30보다 낮다면, 해당 사람은 보다 사회적이고 타인 중심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율성이 낮다면, 자기 통제나 독립성을 유지하기 어려워할 수 있으며, 연대감이 낮다면 사회적인 관계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개인이 보다 외향적이거나 타인과의 관계를 보다 중요시하는 성향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단일한 결과만으로 개인의 성격을 완전히 파악하는 것은 어려우며, 개인의 배경과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해당 사람은 보다 사회적이고 타인 중심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설명은 틀린거 같은데?
 
 
 

네, 죄송합니다. 제가 설명한 것이 잘못되었습니다. "자율성과 연대감의 백분위가 30보다 낮을 때"에 대한 설명에서, 낮은 점수는 보다 사회적이고 타인 중심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율성과 연대감이 낮다는 것은 보다 내향적이거나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기 통제나 독립성이 낮아서 자기 결정을 내리거나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사회적 관계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낮은 자율성과 연대감 점수는 보다 내향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나타내며, 사회적이거나 타인 중심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자율성과 연대감 점수의 백분위가 30보다 낮다는 것은, 성격적으로 미성숙하고, 자기 중심적이고,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자기확신이 부족하고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니까 그런거 아닐까?

 

네, 맞습니다. 자율성과 연대감 점수가 낮다는 것은 성격적으로 미성숙하고 자기 중심적이며,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자기확신이 부족하고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기확신의 부족은 자율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기확신이 부족하면 자신의 능력이나 결정을 믿지 못하고, 따라서 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것은 연대감의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연대감이 부족하면 타인에게 쉽게 의존하거나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성숙함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발견되고 인식된다면 개인이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더 발전시키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필요한 지원과 노력을 통해 이러한 영역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요렇게 나누어 볼 수 있겠다

 

재밌에 읽어볼 수 있는 읽을 거리!를 참조한다. 

 

https://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29/2016062900269.html

 

[심리 이야기] '새로움 추구' '위험 회피'… 나는 어디에 속할까

[심리 이야기] '새로움 추구' '위험 회피'… 나는 어디에 속할까

newsteacher.chosun.com

 

tci검사는 타당도 척도가 없기에, 응답자의 반응 경향성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기에, 단독 사용은 사실상 권장하지 않는다

부득이하게 단독사용해야 하는 경우들이 종종 발생한다...

 

 

 

 

 

참고 : 우리아이 기질 맞춤 양육 메뉴얼, 마음사랑 홈페이지

            tci 기질 및 성격검사 메뉴얼, 마음사랑

            chat GPT에서 질문한 내용 끌어옴

 

(2024.02.02 최종 수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