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테크 공부하는 중입니다.
정보를 정리하고 생각을 남기려는 용도의 글 임을 명시합니다
- 주식 : KBSTAR 미국 S&P500 - 한국의 KB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주식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이 ETF는 미국 시장의 주요 지수 중 하나인 S&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 S&P 500은 미국의 50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수로, 미국 주식 시장의 주요 동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다. KBSTAR 미국 S&P500 ETF를 통해 한국의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오픈된 자료이니 긁어 와본다. 자료를 보면 설정후 37% 증가, 최근 1개월 기준으로는 4.78%증가하였다.
배당금은 1월, 4월, 7월, 10월 이렇게 주는 걸로 보이고 1주 당 37원~45원 보이고 있다.
장기투자에 유리한 특징
보수율 연 0.021%로 낮은 편
환노출형으로 지수수익률과 별개로 환율변동에 따라 추가손익 발생 가능 : 환노출형 상품은 특정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 손익을 노출시키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KBSTAR 미국 S&P500 ETF가 환노출형 상품이라면, 미국 S&P 500 지수의 움직임 외에도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따라 추가적인 손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노출형 상품의 경우, 해당 국가의 통화와 투자 대상 국가의 통화 사이의 환율 변동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품을 보유하는 경우, 통화 간의 환율 변동에 따라 추가 수익을 얻거나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주식 지수의 수익률 외에도 통화 간의 환율 변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환율이 낮아지면 수익이 나빠지는 구조)
- 채권: ACE 미국 30년 국채 액티브(H): 미국 발행 30년 국채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 채권을 편입하는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미국 발행 국채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으로 구성된 장기 국채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여 미국 초 장기 국채 가격 움직임을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하는 월 배당 ETF 입니다.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 하락(=채권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경우 매력적인 투자 상품이며, 합성이 아닌 실물 운용으로 퇴직연금(DC/IRP) 계좌에서도 100% 한도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https://www.aceetf.co.kr/fund/K55101E03860
한국투자 ACE ETF
ETF의 에이스, ACE ETF. 최고의 고객 전문가를 지향합니다. #1974 #한국투자신탁운용
www.aceetf.co.kr
사이트에서 분배금 확인이 가능하다. 매달 초 입금 되며, 1주에 25원~37원 선이다
계산하면 250만원 받고자 하면, 10만주 있어야 되넹
그래프 보면, 2023년 10월까지 하강했다가 12월에 올랐다가 다시 내림
chat gpt에 매수시기를 물어본 결과, 요런걸 고려해야한다고 한다.
- 경기 예측: 장기 국채는 시장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만약 당신이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 장기 국채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미리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 장기 국채는 일반적으로 중장기 금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만약 현재의 장기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된다면, 지수펀드를 구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할 경우에는 가격이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투자 목표와 기간: 투자자의 목표와 투자 기간에 따라 적절한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 목표를 가진 투자자라면 장기 국채 지수펀드에 투자할 때 장기적인 시각으로 시장을 고려해야 합니다.
- 다변화: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데 장기 국채 지수펀드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허용도를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최종적으로, 장기 국채 지수펀드에 투자할 때는 개별적인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세한 연구와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될 때, 금리가 낮을 때, 이상품은 장기투자하려고 할 때, 포트폴리오의 다변성을 주고자 할 때 유용, 채권은 국가가 발행하는 거니까,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볼 수 있겠고,,,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고,,,,
- 금 : TIGER 골드선물(H) - 미래에셋 TIGER 골드선물 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금-파생형)(H)
금관련 장내파생상품을 주된 투자대상으로 한다고 한다. (chat gpt에 일단 물어보기) TIGER 골드선물(H)는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상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TIGER 시리즈의 상품 중 하나로, 골드 선물에 투자하기 위한 주식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이 ETF는 주로 금 시장의 성과를 추종하려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며, 경제 불안이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을 때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TIGER 골드선물(H)를 통해 투자자는 금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 ETF는 실물 금이 아니라 금 선물에 투자합니다. 금 선물은 향후 일정 시점에 일정 가격으로 금을 거래하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ETF의 성과는 금 선물의 가격 변동을 따라갑니다. TIGER 골드선물(H)를 통해 금에 투자하는 것은 실제 금 보유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 선물은 시장의 금 가격을 반영하고, 이를 통해 금 시장에 대한 투자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019년 4월에 설정됨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지수 그래프와 거의 유사하게 움직임
-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은 금 시장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표 S&PGSCI(Standard & Poor's Goldman Sachs Commodity Index)에 속하는 하나로, 금 시장에서의 투자 수익을 추적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인덱스의 "Total Return" 버전은 단순히 금의 가격 변동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배당이나 이자와 같은 추가 수익을 반영합니다. 즉, 이 지표는 금 시장에서의 투자 수익뿐만 아니라 해당 기간 동안의 배당이나 이자 수익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은 금 시장에 투자한 투자자들에게 실제로 발생한 전체 수익을 반영하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319640009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공식홈페이지, 시장대표지수 및 다양한 섹터, 테마 등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ETF투자솔루션 제공
www.tigeretf.com
구성을 보면 예금 비중도 높다(특징적)
- 현금 : TIGER CD금리투자 KIS - TIGER CD금리투자 KIS는 "코스피200지수선물옵션(CD) 현재가 차익매매 전략지수"를 기반으로 한 상품입니다. 이는 코스피200지수 선물 옵션을 활용하여 CD(차익매매) 전략을 시행하는 상품입니다.TIGER CD금리투자 KIS는 이러한 CD 전략을 적용한 상품으로, 코스피200지수 선물 옵션을 활용하여 일정한 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CD 전략은 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하여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며, 이를 통해 일정한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투자자들은 TIGER CD금리투자 KIS를 통해 CD 전략을 적용한 상품에 투자함으로써 일정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투자 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 시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시장 지표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고,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의 이동이나 변동성에 따른 보호를 위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찾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CD 전략은 일정한 수익을 추구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양도성예금증서(CD) 관련 파생상품은 주로 CD(양도성예금증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상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은 CD에 연결된 이자율 또는 CD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양도성 예금증서 : 은행에서 직접 발급하는 예금증서로 채권과 같이 은행 자금 조달의 목적을 띠는 "양도"가 가능하고, "무기명"으로 이루어진 상품이다. - "은행이 쓰는 차용증"
- CD옵션: CD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옵션 계약으로, 주로 CD의 가격 또는 이자율에 따른 변동성을 활용하여 수익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투자자는 향후 특정 일자에 CD를 특정 가격으로 매수하거나 팔 수 있는 옵션을 가질 수 있습니다.
- CD 선물: CD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계약으로, 미래 특정 시점에 CD를 특정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는 계약입니다. CD 선물은 일반적으로 CD가격의 변동성을 이용하여 투자 수익을 추구하는데 사용됩니다.
- CD 스왑: CD 이자율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리 스왑 계약으로, 두 당사자 간에 특정 기간 동안의 이자율 지급을 교환하는 계약입니다. 이러한 스왑 계약은 이자율 변동성을 관리하거나 특정 이자율 노출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CD ETF: CD를 추적하는 ETF는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으로, CD에 투자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ETF는 일반적으로 CD 포트폴리오를 추적하는 지수를 기초로 합니다.
이러한 CD 관련 파생상품은 CD를 활용하여 다양한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이자율 또는 CD 가격의 변동성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거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장이 하락한다면, 현금 비중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므로, CD 금리 etf를 활용해서, 이율을 조금 더 안정적으로 크게(투자상품이므로) 가져가고자 할 때 운용
CD금리, 현재는 외면받고 있는 중,,, (노관심)
장점이라면?
1) 은행보다 높은 금리!
2) 무기명이라 익명성 보장
3) 만기일 이전에 현금화 가능
단점?
1) 예금자 보호가 안됨
2) 무기명 상품이라 절도, 위변조, 사기, 자금세탁, 불법자금 등 위험성
3) 중도해지 불가
최근 새로운 상품 출시
https://blog.naver.com/m_invest/223339408753
매일 이자가 쌓이는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ETF 상장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정 부분을 현금성 자산으로 운용할 수 있는 ETF가 2월 6일 상장합니다. 바로 TI...
blog.naver.com
만기 없고, 상시매수/매도가 가능하고, 한도가 없다는 점은 장점인듯
"채권 혼합형"의 성격을 지님
금리가 인하되면 수익률은 감소할 것으로 생각됨
https://biz.sbs.co.kr/article/20000156199?division=NAVER
미래에셋운용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상장지수펀드(ETF)'가 역대 채권 및 금리형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를 달성했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어제(6일) 신규 상장한
biz.sbs.co.kr
기사가 떴군
많이 사셨나보다..
(2024.02.07 최종)
'일상다반사 > 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미국 나스닥 100커버드콜(합성) (2) | 2024.02.14 |
---|---|
나는 배당 투자로 매일 스타벅스 커피를 공짜로 마신다(수페TV) (2) | 2024.02.13 |
무료 엑셀 가계부 (1) | 2024.02.02 |
ETF 공부하기 (0) | 2024.02.02 |
리얼티인컴 배당주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