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시형(dismissing)
강박증 ------------------------------------------- 자기애적 성격장애/분열성적 성격장애
그들 자신과도 친밀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신뢰하기도 어렵고
'다 괜찮다' (말로는)
회피형 유아: 낯선 상황실험에서 괴로움 보이지 않으나 심장박동과 스트레스 호르몬은 높음
관계에 끌어들여야
"정서"를 따라가기
대체로 신체를 통해 전달(눈, 턱, 입, 눈썹, 어조, 자세,,,,)
무표정한 얼굴을 하는 것이 감정의 표현뿐만 아니라 감정의 경험도 단조롭게 한다(Ekman의 연구결과)
: 우리의 느낌을 가지고 와
: 해리된 느낌을 통합할 수 있게 도움
***** 환자가 치료자를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이 되도록 허용할 수 있게 하는 것
공감적 조율 + 직면
내면의 장벽 ---> "치료자가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는 느낌"
자기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느낌의 제약 + 친밀의 회피
(치료장면에 오게 하는 것이 어려움)
공감? 뭔지 모름
반응형
'도서리뷰 > 애착, 가족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관계의 분석-불안형과 회피형을 중심으로 (0) | 2024.06.22 |
---|---|
날 꼬옥 안아줘요, 부부의 대화 속에서 배운 것 (0) | 2024.05.11 |
당신의 결혼생활을 방어하라(패배적 발상은 굿바이!) (0) | 2024.05.04 |
부부, 가족체계의 진단 (0) | 2024.04.30 |
11장 발달을 위한 도가니 만들기 (0)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