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애착, 가족치료

날 꼬옥 안아줘요, 부부의 대화 속에서 배운 것

by 슬기로윤 2024. 5. 11.
반응형

항의하기 대화 중

 

숲을 보기

 

내용에 초점x, 나무에만 초점x

 

전체 관계의 흐름을 보기

 

특정행동에만 초점x

 

한 배우자의 행동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원칙이자 전제)

; 자신이 의도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에게 고통을 줄 수 있다.

; --> 공격 ---> 더욱 강하게 방어하고 자기 주장을 펼친다.

; 배우자의 자기 개방과 반응을 막은 장본인이 바로 자신임을 알아야 한다.

 

; 내가 다시 물러나게 되고

; 배우자는 다시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게 되고

; 배우자는 나와 결합하기 위해 격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항의하기=애착갈등

 

우리의 적=부정적 대화방식

 

당신이 적이 아니며, 아내의 항의가 '나를 파멸시키려는 것'이 아닌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투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단절되고 불안하게 느껴지면 어떻게 하는가?

: 일단 말문을 닫고, 멍해진다, 그리고 눈물이 난다

 

과거에 부부가 크게 다투었거나 상처를 입었던 사건이 있는가?

: 기억나는건 돈문제였다. 내가 받고 싶지 않은 선물을 받고 그에 대한 보답을 요구했다(금전적 보상 150만원)

나는 받고 싶지 않은 선물을 받았기에(금붙이 세트), 그걸 왜 줘야 하는지 도저히 납득이 안되었고, 악을 질렀다

 

행동방식은 공격? 위축?

: 위축되었다가 공격

 

배우자를 변화시키려고 애쓰지는 않는가? 혹은 입을 닫고는 위로를 바라는 것은 좋지 않으며 위로를 받을 수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일상을 살펴볼 것

: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단절을 불러온 자신의 반응을 돌이켜 봐야 한다

 

회피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 세상과 벽을 쌓는 방식으로 안정감을 찾고 있지는 않은가?

; 이러한 회피적인 태도가 유용할 때도 있다

; 이는 배우자의 '항의하기' 대화를 유발한다. 머지 않아 배우자는 도망가는 당신이 필요하게 되고 단절감과 버림받은 느낌을 강하게 갖게 된다. 

 

내가 더 _____ 하면 할수록, 당신이 더 많이 _____ 하고, 그러면 내가 더 ______ 하게 되어 우리는 이를 계속 반복하게 된다. 

 

유대감이 단절되었지만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배우자에게 안전감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당신이 화가 난 것을 이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그리고 당신이 나를 필요로 한다는 것도 이해하게 되었어, 하지만 지금 나는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