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모로그

대인관계에서의 기술

by 슬기로윤 2023. 2. 21.
반응형

혐오, 막말 = (현재) 위급한 사람이라는 신호

막말 = 생각의 문제x = 입밖으로 꺼내는 것이 문제

Go 과제 NOGO 과제(청기백기 게임)

왜 입밖으로 꺼내는가?

   1) 충동적, 조절력이 부족

   2) 자기 위치가 변하지 않을 거라 믿는다 : 나는 앞으로 계속 고권력자 => 자기를 제어할 필요 없음, 나는 앞으로 계속 저권력자=>나아질 거라는 믿음이 없음 // 현재 사회적 계층의 이동성이 떨어져 있음

   3) 오히려솔직하다고 착각함 (그래도 진정성 있네!)

ex) 사이비교주, 도널드트럼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그 인간들은 우리에게 바바리맨 짓을 한 것. '정신적 충격이 크고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함', 못본척 지나가는 사람이 가장 범행하기 쉬운 대상/막말을 통해 승리하면, 다음에도 막말을 통해 승리하고자 함/웃지 말고, 화내지 말고, 단호한 언어

(지나치게 밝은 사람?=부적절하게 밝은 사람=허세)/남들에게 약해보이기 싫고 동정받기 싫어하는 욕구가 있음. 괜찮지 않은데 괜찮은 척

     1) 남에게 피해주기 싫음

    2) 사람들이 자신을 안좋게 볼까 불안한 사람: 과로사 위험을 높임, 힘들다는 signal을 주지 않음. 감정표현 -> 욕을 들어 먹음(가정 환경 내에서) / 표현을 억누르면 인지에도 문제가 발생("애가 참 어른 스러워요")

[#티전드] 막말하는 사람 특) 본인이 솔직하다고 착각함☠️ 사이다+현실적으로 대처 가능한 방법은?! 여러분도 따라해보세요😉 | #어쩌다어른 - YouTub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