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14

DBT와 CBT의 차이 CBT와 DBT : 사고패턴의 수정 -> 기능장애가 있는 사고와 행동을 해결 CBT는 변화에 초점(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의 변화) DBT는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들이고 느끼고 놓아주는 것에 보다 중점을 둠 CBT: 기간의 제한, 1~2개의 구체적 목표 설정, 10~16회 세션 구성의 구조화된 단기치료 부정적인 사고 과정을 재평가하는 방법 배우기 몸의 이완과 마음의 안정 두려움을 피하는 대신 맞서라 건강한 대처 기술 개발 자신감과 자존감 키우기 DBT: 일상생활의 심리사회적 측면에 초점. (**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생각과 행동 패턴에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의 맥락에서 가장 파괴적이다) DBT의 그룹치료는 감정조절기능 장애 치료에 분명한 이점이 있다. 안전하고 지지적.. 2023. 2. 16.
자살 징후와 자살사고 일반적인 경계 징후들 자살행동: 자살에 대한 생각, 술과 마약 사용, 철회/침잠(withdrawal), 갑작스러운 행동변화, 성적의 급격한 저하, 불안, 무망감, 갇혀서 빠져나올수 없는 느낌 자해행동: 이유를 알수 없는 자상/멍/화상, 술이나 마약 사용, 또래들로부터 고립, 우울증상, 식습관의 변화, 낮은 자존감 술과 마약: 심한 기분변동, 극단적인 반항, 가출, 자해행동, 학교수행 부진, 행동 및 기분의 갑작스러운 변화, 범법 행위 p63에 제시된 내용이다. 이러한 징후들이 발견되면 이미 늦었지 않나.. 그런 생각도 든다. 하지만, 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청소년들에게는 꼭 직접 질문을 하자!! 자살 행동에 대해 직접 질문하는 것은 자살행동을 증가시키지도 않고, ..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