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금융공부

[ETF] 인베스코 원자재 지수 EFT (DBC)

by 슬기로윤 2024. 1. 31.
반응형

 

DBC (Invesco DB Commodity Index Tracking Fund)


  DBC는 GSG와 BCI의 중간 정도에 있는 ETF입니다. DBC가 추종하는 DBIQ 지수는 세계에서 가장 거래가 많이 되는 14개의 원자재에 투자하며, 각 원자재의 역사적 생산량과 공급량을 반영하여 투자 비중을 설정합니다. 에너지 섹터 비중에 60%의 상한선을 두었기 때문에 GSG처럼 에너지 섹터의 가중치가 높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BCI처럼 다각화가 확실히 되어있진 않은 ETF입니다.

  DBC의 가장 큰 장점은 전략적 롤오버입니다. GSG와 BCI가 잦은 롤오버로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반면에, DBC는 필요시에만 롤오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롤오버 진행 시 백워데이션일 때는 이익을 최대화하고 콘탱고일 때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물이 급상승한 경우 현물 가격 추종이 불리하기도 하지만, 이는 가격 상승에서 오는 수익뿐만 아니라 롤오버 시 발생하는 수익도 고려한 전략으로 (Erb & Harvey, 2015) 역시 원자재 선물 투자에서 이와 같은 롤오버 발생 수익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 롤오버? 만기일이 도달하게 되었을 때 실제 물건을 받지 않기 위해서 조금 더 먼 만기를 가지고 있는 선물로 교체하는 작업을 롤오버라고 합니다. 롤오버를 할때는 시장상황에 따라 비용이 들수도 있고, 반대로 수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음, 안전하다고 볼수 있는가)

  DBC의 운용 보수는 0.85%로 높은 편입니다. 최근 5년간 원자재 성적의 부진 및 PDBC의 출시에 따라 DBC의 거래대금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운용 자산과 거래량 면에선 GSG와 BCI를 현저히 앞선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패시브하게 운용되어 위험도가 낮고 앞서 말한 전략적 롤오버의 이점이 있어 장기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안전하다고 보는 것 같군)

 

https://www.dndn.io/blog/267(출처)

 

장기투자의 개념보다 흐름에 따라 알맞게 매도

(수익률 시점을 정해두고, 매도하기)

 

인플레이션 헷지 차원

(포트폴리오에서 가지고 있는 것도 나쁘지 않다)

 


 
chat gpt에게 물어보기
 
dbc etf에 대해 알려줘
 

DBC ETF는 커머디티 (대부분의 경우 원자재) 시장에 투자하기 위한 ETF입니다. "DBC"는 "파워셰어 커머디티"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이 ETF는 다양한 원자재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 DBC ETF는 에너지, 금속, 농산물 등 다양한 원자재를 포함하는 지수에 연계됩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투자 위험을 분산시키고 산업 부문 간의 특정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DBC ETF에 투자할지 여부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에는 개인의 금융 상황, 투자 목표, 투자 기간, 위험 허용 수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현재 원자재 시장의 상황과 미래 전망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원자재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당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수준에 부합한다면 DBC ETF에 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자신의 상황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가능하면 재정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ETF는 투자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투자하기 전에 충분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원자재 시장이 성장할꺼라는 건 어떻게 알수 있어?
 

원자재 시장이 성장할 것인지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원자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경기 회복 및 경제 성장: 원자재 수요는 경기 회복 및 경제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경기 회복이 진행되면 건설, 제조업 등의 활동이 확대되며 원자재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인프라 투자: 정부 및 기업들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는 원자재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재생 에너지, 교통 인프라, 통신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는 원자재 수요가 높을 수 있습니다.
  3. 인플레이션 우려: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을 대비하기 위해 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원자재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4. 공급 쇼크: 자연 재해, 지정학적 위협 또는 생산 중단과 같은 공급 쇼크는 원자재 가격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5. 글로벌 수요 증가: 글로벌 경제 성장과 함께 신흥 시장에서의 소비 증가는 원자재 수요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원자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지만, 예측은 어려운 일이므로 신중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합니다. 특히 원자재 시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관검색에 ptp 종목이 뜨길래, 가져와봄

 

PTP란? 미국 거주자가 아닌 사람이 PTP(publicly traded partnership) 종목을 매도할 때, 매도금액의 10%를 원천 징수하게 됨

2023년 12월 기준, 카카오페이 증권에서 만든 ptp 목록인듯

 

DBC ETF를 가지고 있을 때, 매도하는게 나을지도...(가지고 있음)

추이를 좀 지켜봐야겠음(0.5주 갖고 있는 주주)

 

토스증권에서는 2024년 3월8일까지 팔아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알려주고 있다

 

 

PTP 종목 리스트_카카오페이증권_2023.12.26_QN.pdf
0.1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