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애착, 가족치료

애착 이론과 애착 치료

by 슬기로윤 2024. 2. 1.
반응형

https://www.verywellmind.com/attachment-therapy-definition-techniques-and-efficacy-5203776

 

What to Know About Attachment Therapy

Attachment therapy explores how childhood experiences impact adult relationships. Learn more about attachment-based therapy and how to find an attachment therapist.

www.verywellmind.com

 

(2023년11월21일로 업로드 된 내용)

 

어린 시절의 경험이 성인으로서 의미 있는 유대를 형성하는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어린 시절 부정적인 경험을 한 사람들에게는 애착 치료가 권장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사람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라면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애착 기반 치료에서 치료사는 관계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과 협력합니다. 특히 애착 조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어려운 대인 관계에 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Caroline Fenkel박사)  사실은 내면의 아이를 키우는 일로 귀결됩니다. 즉, 치료사는 문자 그대로 내면의 아이, 즉 처음 상처를 입거나 트라우마를 입거나 버려졌을 때의 사람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의미입니다. 거기에서 치료사는 당신이 사랑과 인내, 연민으로 그 버전의 자신을 ' 다시 부모 '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https://www.verywellmind.com/marriage-insecure-attachment-style-2303303

 

Coping With an Insecure Attachment Style

People who do not develop a secure attachment style in childhood can learn strategies in psychotherapy to improve their adult relationships.

www.verywellmind.com

 

  불안정한 애착 스타일에 대처하려면?

 

  • 어린 시절 경험을 이해하십시오. 보안을 얻으려면 어렸을 때 일어난 일에 대한 일관된 설명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세상에서 살아남는 방법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내린 결정에 그것이 미친 영향을 탐구해야 합니다. 당신의 성장이 애착 스타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그러한 패턴을 깨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현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십시오 . 예를 들어, 부부는 때때로 반복적인 상호 작용 패턴에 빠지게 됩니다. 그들은 어떻게 일이 "그렇게 통제할 수 없이 흘러가는지"를 반성하고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들이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어린 시절의 기억과 불안한 경험은 성인 관계의 감정과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관계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을 살펴보십시오 . 부부가 "표면적 문제"를 놓고 싸우고 있더라도 불안한 애착 유발 요인이 상호 작용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정서적 각성과 반응성 수준은 상황에 비해 불균형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것이 심할 경우, 부부의 치료사는(특히 그들이 애착 지향적 인 경우 ) 치료실의 안전한 환경에서 변화를 촉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새로운 습관을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하세요 . 보안을 확보하려면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결혼하고 부모가 되는 것은 애착 스타일을 바꾸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좋은 결혼 관계는 안정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할 수 있습니다.

  Allan Schore는 정서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뇌 발달 및 정신 분석 이론을 개발한 심리학자 중 하나입니다. 그의 연구는 정서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정서적 발달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합니다. 정서적 의사소통은 뇌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초기 발달 단계에서 시작됩니다. 아기는 어머니나 주요 돌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전달하고 받으며, 이를 통해 정서적 안전감과 안정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Schore는 이러한 초기 상호작용이 아동의 뇌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아동이 양호한 정서적 의사소통을 경험하지 못하면 뇌의 발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후에 정서 조절 문제나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정서적 의사소통은 또한 부모나 돌봄자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모나 돌봄자가 아동의 감정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은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과 안전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부모나 돌봄자의 반응이 아동의 정서적 발달과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chore의 연구는 정서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정서적 안정성과 안전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부모나 돌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치료자의 역량, 부모의 역량에 대해 강조

-> '마음챙김'의 상태에 있을 것

 
치료자의 반응에 중점을 둔다면?
 

환자가 자기조절보다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에 의존하는 경우, 치료적 개입은 그들이 안전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적절한 자기조절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접근법이 있습니다:

  1. 정서적 조절을 촉진하는 상호작용: 환자와의 상호작용에서 감정을 인식하고 수용하며, 그들이 안전하고 지지받는 느낌을 주도록 노력합니다. 환자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이를 인식하고 공감하며, 그들이 안전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모델링과 실습: 치료자는 환자에게 적절한 자기조절 기술을 가르치고 모델링하여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호흡 기법, 근육 이완, 마음의 안정을 위한 기법 등을 함께 연습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환자가 스스로 자기조절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안전한 치료환경 제공: 치료 과정에서 안전하고 지지받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환자가 안전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을 허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협력적인 관계 구축: 환자와의 협력적이고 상호작용이 풍부한 관계를 구축합니다. 이는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치료자와 함께 자신의 감정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겪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강화 및 재평가: 환자가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을 시도할 때 적절한 피드백과 강화를 제공합니다. 그들의 노력과 성취를 인정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자기조절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함께 평가하고 재고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환자가 자기조절보다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에 의존하는 경우에도 치료적 개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환자가 안전하고 안정된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나의 무게 중심은 '내부'에 있다고 느끼면서 살아가는 능력을 배워나가야 한다. 나의 자원과 욕구를 알고 활용할 수 있게!!!

 

 

  존 볼비(John Bowlby)는 애착 이론의 중요한 연구자로, 강박적인 자기 의존에 대해 이야기한 적은 없지만, 그의 이론은 강박적인 자기 의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일부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애착 이론은 초기 어린 시기의 부모나 주요 돌봄자와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 애착과 심리치료 164p에서는 보울비가 '강박적인 자기의존'이라고 불렀다고 하는 내용이 있음

 

   강박적인 자기 의존은 일반적으로 자아의 불안정성이나 자기 의존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로 초기 어린 시기에 정서적으로 지지받지 못한 경험이나 안전한 애착 관계의 부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비는 안전한 애착 관계가 어린이의 정서적 안전성과 안정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는 강박적인 자기 의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애착 이론에 따르면, 안전한 애착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어린이들은 자아의 안정성을 위해 자기 의존에 과도하게 의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스스로의 가치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박적인 자기 의존은 초기 어린 시기의 안전하지 않은 애착 관계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이는 어린이의 정서 발달과 자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안정된 애착 관계를 형성하고, 어린이가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인식하고 강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02.01 최종수정)

반응형

'도서리뷰 > 애착, 가족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가 정신질환이라면  (3) 2024.02.02
정서조절과 애착  (0) 2024.02.01
잃어버린 육아의 원형을 찾아서  (0) 2024.01.30
가족의 무서운 진실  (0) 2024.01.30
회피형/무시형 애착  (1) 202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