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

4장 핵심 정서적 욕구를 이해하고 충족시키기

by 슬기로윤 2025. 2. 13.
반응형
창의적인 심리도식치료 기법
책은 크게 심리도식치료 사례개념화, 심상을 사용하는 창의적 기법, 의자 작업과 양식대화 및 놀이를 사용하는 창의적 기법, 공감적 직면과 치료 관계, 건강한 성인양식을 개발하고, 치료 종결하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심리도식치료 이론과 기법에 관련된 모든 내용이 총망라되어 있습니다. 특히, 심리도식치료에서 많이 사용되는 심상을 활용하여 아동기 기억, 복합외상 및 PTSD를 다루는 기법은 지금까지 다른 책에서 부분적으로만 소개되고 있는 내용을
저자
Gillian Heath, Helen Startup
출판
학지사
출판일
2023.07.15


p106에 나오는 내용이다.

스트레스 취약성모델- 민감성, 반응성은 분명히 불리한 것
Boyce는 양육적이고 지지적인 가정에서 자라날 때, 민감한 아동들이 ‘민들레’아동들보다 더 건강하고, 정서적/행동적 문제 발생률도 낮고, 덜민감

chat gpt 에서 찾아본 내용

Boyce가 도입한 *‘민들레(dandelion)’ 아동* 개념은, 아동이 환경적 스트레스나 역경에도 비교적 잘 적응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 **‘민들레(dandelion) 아동’ vs. ‘난초(orchid) 아동’ 개념**
Boyce와 Ellis(2005)는 **생물학적 민감성(Biological Sensitivity to Context) 가설**을 제안하며, 아동이 환경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고 설명했습니다.  

1. **민들레(dandelion) 아동**  
   - 다양한 환경에서도 비교적 **탄력적으로 성장**  
   - 스트레스가 크더라도 적응력이 높고,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  
   - 대부분의 아이들이 이 범주에 속함  
   - 민들레가 어떤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것과 유사  

2. **난초(orchid) 아동**  
   -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  
   - 스트레스나 부정적인 환경에서 쉽게 위축되거나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음  
   - 하지만 좋은 환경에서는 **매우 뛰어난 잠재력을 발휘**  
   - 난초가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적절한 환경에서 아름답게 피는 것과 유사  

✨ **의미와 적용**
이 개념은 아동 발달 연구와 교육,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 *‘민들레 아동’*은 비교적 환경의 영향을 덜 받으며 꾸준히 성장하는 아이들이며,  
- *‘난초 아동’*은 취약하지만 적절한 지원을 받으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을 통해 개별 아동의 기질을 이해하고, 민감한 아동에게는 세심한 보호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반응형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1) 2025.02.05
진실과 회복  (0) 2024.05.08
생각중독  (0) 2024.05.02
90일 감정노트 - 나의 감정을 알기  (0) 2024.02.29
정서중심 부부치료의 과정  (0)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