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

생각중독

by 슬기로윤 2024. 5. 2.
반응형
 
생각 중독
독립출판물로 출간된 후 독자들의 폭발적 지지와 입소문만으로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에 오른 후 전 세계 36개국에 판권 수출된 글로벌 화제작 『생각 중독』이 드디어 한국에 출간됐다. 저자는 ‘생각 과잉’을 우리도 모르는 사이 삶을 서서히 망가뜨리는 현대 사회의 문제적 유행병으로 규정하며, 그 심각성을 인식하고 당장 생각의 패턴을 바꿈으로써 그 독성에서 벗어날 것을 촉구한다. 과거를 되새김질하며 끝없이 후회하는 사람, 아주 작은 일에도 거대한 걱정으로 내닫는 사람, 밀려드는 업무에 압도돼 정작 미루기만 하는 사람, 자기 말 한마디가 관계를 해칠까 두려워하는 사람…. 모두 ‘생각 감옥’에 갇힌 사람들이다. 이곳에 갇힌 사람들은 불안감에 시달리다 부정적 사고 패턴으로 현실을 잘못 인식하고 결국 지독한 자기부정에 이르기도 한다. 원할 때 빠져나가지도 못한다. 대체 왜 이런 미로에 걸어 들어가는 걸까? 답은 간단하다. 현대 사회의 디폴트값인 스트레스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생각 중독』은 여러 논문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대인들이 왜 그토록 쉽게 생각 감옥에 빠지는지 밝히고, 최신 연구에서 찾아낸 심리 도구로 생각 과잉을 끊어내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은 어떤 생각이 우리의 불안을 점진적으로 증폭시키는지 알게 해준다. 무엇보다 이 책은 우리가 가진 ‘생각에 대한 생각’을 바꿈으로써 잃어버렸던 삶에 대한 집중력을 회복시켜줄 것이다.
저자
닉 트렌턴
출판
갤리온
출판일
2024.02.29

 

 

요약, 정리, 생각 첨부용

내용이 새롭지는 않다.

다만, 알려져 있는 기법들을

좀더 알기 쉽게

잘 적용하게끔 하는데 목적이 있는 듯

 

인지행동치료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기(실용서적)

-p40 참조

 

불안은 2종류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불안

부모의 양육방식, 어린시절의 경험으로 생긴 불안

 

생각과잉은 아무런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습관 = 가장 통제하기 쉬운 영역

 

eustres 유스트레스 = 정상적인 압박으로 자극을 주고 긴장감을 유지,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도전하게 함

hypostres 과소스트레스 

 

*세라 에덜만 Sarach Edelman

스트레스= 외부환경에서 오는 압박불안=압박 때문에 내면에서 겪는 경험

 

투쟁-도피반응

 

만성 스트레스 -> 번아웃,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된 느낌

 


 

의도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완화하고 삶을 주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알맞은 조면, 기분 좋은 향기, 차분한 색깔의 벽... 등)

 

"중요한건 짐이 아니라 짐을 나르는 방식이다"

 

스트레스에 견디는 자기만의 타고난 장점과 기술은 무엇인가?

세상에서 발생하는 난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이 모든 것이 전개되는 방식을 얼마나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가?

일상적인 생활 습관은 어떤가?

자존감은 잘 유지되고 있는가?

심리적 경계선은 어떤가?

 


 

불안 -> 인식

 

어떻게 대처할지 선택할 수 있음

 

4A 스트레스 관리법

(회피 avoid, 변경 alter, 수용 accept, 적응 adpat)

 

스트레스 일기: 쉽게 터지는 감정에 회복력 더하기

스트레스를 모두 기록

 

다른 사람에게 어떤 도움을 받았는가?

감사할 만한 일은 무엇인가?

내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와 원칙은 무엇인가?

 

쓸때는 긍정적인 단어로

 

말을 듣지 않는 개 -> 넓은 들판을 수십바퀴 돌수 있게 해야 -> 지쳐서 -> 훈련이 가능

 

점점 더 건강하고 균형잡힌 표현을 할 수 있게

 

내가 왜 이렇게 다른 사람들의 영업장을 방문하는지 알 수 없었지만  무의식적으로 지속적으로 찾고 있는 나의 모습을 발견했다. 내가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을 가지고 있어 부러웠던 것 같다. 내가 혹시나 뒤쳐질까봐 다른 사람은 어디까지 달성했는지 확인하고 안심을 구하고자 했던 듯하다. (센터를 open한 지인 혹은 지인의 지인 블로그, 홈페이지, 인스타 등을 일부러 찾아 들어가 봄, 정기적, 지속적으로)

 


촉발요인 + 그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기록하기

 

스트레스에요x

(요가를 해보는게 어때요? 처럼 일반론적인, 도움이 안되는 조언을 할 뿐)

 

온라인 화상회의를 몇 건이나 연달아 하는게 정말 힘들어요, 감당이 안되고 불안감 마저 느껴요o

(구체화가 필요)

 

명확한 인식이 불안을 덜 느끼게 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의 세부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면

앞으로 적용해야 할 해결책을 알수 있어서다

 

기록: 날짜/시간, 기분, 전혀 스트레스 받지 않았으면 1점, 극도로 스트레스 받았으면 10점

감정 or 신체증상 기록

스스론 느낀 효율과 생산성 정도 점수를 표시

최근 스트레스 받았던 사건 +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짐작되는 것 모두 기록자신이 어떻게 반응?그 결과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