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SUSAN M JOHNSON
- 출판
- 이너북스
- 출판일
- 2010.09.15
- 저자
- Susan M Johnson
- 출판
- 학지사
- 출판일
- 2022.03.20
정서가 행동을 유발한다!!
부부 변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3기 및 9단계로 분류된다.
1기 - 2기 - 3기의 흐름으로 보면 된다
"정서는 반복해야 깊이 들어갈 수 있다"(정서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깊이 들어가는 것이 가능)
나의 정서와 욕구를 알아야
현재의 "나"가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알 수 있음
정서와 욕구 모르면 해결되지x - 쌓여 있다가 튀어 나온디... (욱)
내 마음을 안다 = 충분히 느끼고 경험한다 = 이에 익숙해지고
=> 부부관계에서는 이에 대해 예의와 존중이 서로 이루어져야 하는...
제1기: 부정적 상호작용 고리의 단계적 약화(The De-esca.........................lation ofNegative Cycles of Interaction)
::: 제일 길다고 봐야....
• 1단계: 치료동맹을 형성하고 핵심 애착투쟁에서 갈등하는 문제를 밝힌다.
• 2단계: 이러한 문제가 표현되는 부정적 상호작용 고리를 규명한다.
- 공격자, 위축자
- 공격은 '안전하지 않을 때, 개방적이 될 수 없을 때, 약한 면을 보일 수 없을 때, 솔직하거나 약해져도 된다고 생각하지 않을 때' 발생
- 때로는 과거의 상처와 현재의 분노가 배우자에 대한 긍정적인 점을 찾아내는 것을 어렵게 할 때도 있다
- 나의 춤을 인식하고 이름을 붙여보기
• 3단계: 상호작용 태도의 이면에 숨겨져 있는 정서에 접근한다.
- 정서의 본질? (나를 꼭 안아주세요, 수전존슨)
1) 접근성 Accessibility : 당신에게 다가가도 되나요?
의심이 생기고 불안할 때, 당신이 배우자와 열린 마음을 유지하는 것
당신이 자신의 감정에 압도되지 않기 위해서 그것을 정확하게 이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
2) 반응성 Responsiveness : 당신의 정서적 반응을 기대해도 되나요?
당신이 배우자에게 집중하여, 그의 애착 욕구 및 두려움이 당신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
당신이 배우자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배우자가 원하면 분명한 위로와 관심을 보여주는 것
3) 교감 Engagement : 나를 존중하고 나와 함께 있고 싶어하는 당신의 마음으르 내가 알 수 있나요?
교감: 빨려들다, 마음을 빼앗기다, 끌리다, 현혹되다, 서약하다, 몰두하다
정서적 교감 : 사랑하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매우 특별한 배타적인 관심
오랫동안 서로 바라보고 신체적으로 접촉(배우자에게 감정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
• 4단계: 문제를 부정적 고리, 내재된 정서, 그리고 애착욕구의 관점으로 재구 성한다. 부정적인 고리가 공공의 적인 동시에 부부의 정서적 박탈과 불화의 원인이라고 개념화한다.
** 고부갈등: 시어머니가 문제x, 이를 둘이서 어떻게 대처, 반응, 표현해 나갔는지가 더욱 중요
** 공감적 추측보다는 반영이 중요
제2기: 상호작용 태도를 변화시키기(Changing Interactional Postion)
• 5단계: 감춰진 애착정서, 욕구, 그리고 자신의 이면을 드러내도록 돕고, 이러한 부분을 관계 상호작용에 통합한다.
• 6단계: 상대 배우자가 배우자의 경험과 새로운 상호작용 반응을 수용하도록 격려한다.
• 7단계: 욕구와 소망을 표현하고 정서 교류를 유도하며, 부부가 결합할 수 있 는 계기를 만들어 애착을 재정의할 수 있게 돕는다.
제3기: 강화와 통합(Consolidation and Integration)
• 8단계: 과거 관계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촉진한다.
• 9단계: 애착행동의 새로운 태도와 고리를 강화한다.
(2024.04.18 최종수정)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중독 (0) | 2024.05.02 |
---|---|
90일 감정노트 - 나의 감정을 알기 (0) | 2024.02.29 |
심리도식치료 - 1장 심리도식치료: 개념적 모델 (0) | 2023.07.14 |
밀턴 에릭슨의 우회대화법 (0) | 2023.07.13 |
투사적 동일시와 과도한 친절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