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97

날 꼬옥 안아줘요, 부부의 대화 속에서 배운 것 항의하기 대화 중 숲을 보기 내용에 초점x, 나무에만 초점x 전체 관계의 흐름을 보기 특정행동에만 초점x 한 배우자의 행동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원칙이자 전제); 자신이 의도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에게 고통을 줄 수 있다.; --> 공격 ---> 더욱 강하게 방어하고 자기 주장을 펼친다.; 배우자의 자기 개방과 반응을 막은 장본인이 바로 자신임을 알아야 한다. ; 내가 다시 물러나게 되고; 배우자는 다시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게 되고; 배우자는 나와 결합하기 위해 격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항의하기=애착갈등 우리의 적=부정적 대화방식 당신이 적이 아니며, 아내의 항의가 '나를 파멸시키려는 것'이 아닌'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투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단절되고 불안하게 느껴지.. 2024. 5. 11.
대인과정 접근 5장 내담자의 감정 돕기 지금 당신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그 감정에 대해 조금 더 말해주세요그들과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하고 있는 지금 기분이 어떤가요 ---> 핵심적이라고 느끼는 것을 탐색 왜라는 질문은 자제: 스스로도 모른다 ; 왜 그렇게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지에 대해 어떻게 느끼셨어요? 라는 질문을 반복하는 것은 경계  그 감정에 대한구체적으로 생생하게?이미지는?몸의 특정 부위는?시작된 시기는? 오래된건지? 익숙한건지?나이를 붙인다면? 조율된 반응성(attuned responsiveness) 즉시성 개입은 내담자의 경험을 강렬하게 하여 자신의 경험에 좀 더 충실하게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성찰(being reflective)을 함양하는 관계 =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의 증대 말+정서 사이의.. 2024. 5. 10.
12장 무시형 환자 무시형(dismissing)강박증 ------------------------------------------- 자기애적 성격장애/분열성적 성격장애 그들 자신과도 친밀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신뢰하기도 어렵고 '다 괜찮다' (말로는) 회피형 유아: 낯선 상황실험에서 괴로움 보이지 않으나 심장박동과 스트레스 호르몬은 높음 관계에 끌어들여야"정서"를 따라가기 대체로 신체를 통해 전달(눈, 턱, 입, 눈썹, 어조, 자세,,,,) 무표정한 얼굴을 하는 것이 감정의 표현뿐만 아니라 감정의 경험도 단조롭게 한다(Ekman의 연구결과): 우리의 느낌을 가지고 와: 해리된 느낌을 통합할 수 있게 도움 ***** 환자가 치료자를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이 되도록 허용할 수 있게 하는 것공감적 조율 + 직면 내면의 장벽 --.. 2024. 5. 9.
진실과 회복 진실과 회복‘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진단명을 최초로 제안한, 트라우마 연구의 세계적 거장 주디스 루이스 허먼의 신작 『진실과 회복』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근친 성폭력, 감춰진 진실』과 『트라우마』에 이어 ‘트라우마’ 3부작의 대미를 장식하는 역작으로, 2023년 미국에서 출간된 뒤 수많은 언론들, 학자들, 활동가들, 폭력 피해 생존자들의 찬사를 받았다. 특히 〈뉴욕 타임스〉에서는 이 책을 “트라우마 생존자들을 위해 정의를 다시 상상하는 매우 비범하고 깊이 있는 연구서”라고 소개했고,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쓴 작가 V(개명 전 이름 이브 엔슬러)는 이 책을 두고 “훌륭한 솜씨를 발휘해 생존자들의 목소리에 형태를 부여해낸, 단어 하나하나가 진실되고 핵심적인 저서”라며 상찬했다. 이 책에서 허.. 2024.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