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97

통제적인 내담자와 치료적 동맹 맺기 동맹파열을 먼저 알아차려야 한다 이를 암시하는 말 뭔가 잘 안풀린다..는 느낌이 오는 말들이다. '동맹파열과 관련됐을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비판적으로 묻거나, 강조하거나 소리내어 알려야 한다. + 동시에 치료자는 개인적으로 자신이 동맹 파열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자문함으로써 "자기탐구"를 실천해야 한다. 내담자를 비난하지 않기*** 조기 중단 시 목표 : 가능하면 다시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2024. 3. 20.
RO DBT-5장 내담자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RO DBT: 온전히 개방적인 변증법적 행동치료 이 책은 심리학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저자 토머스 R 린치 출판 해피한가 출판일 2024.01.31 dbt 진행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본다 물리적 환경 약속 프로토콜 1. 자신이 과잉통제적이라는데 동의, 이를 목표로 노력하겠다는 약속 2. 치료를 중단할 때는, 사전에 직접 만나서 치료를 중단하고자 하는 충동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약속 3. 치료자나 다른 의료전문가에게 연락하지 않은 채 자해나 자살시도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 과잉통제의 특징 : 높은 생기질적 위협민감성 및 관계 - 감정적인 반응이 과도하게 강하고, 상황에 따라 쉽게 격정되거나, 자주 변화하는 경향 - 디테일과 사소한 오류를.. 2024. 3. 19.
수치심과 죄책감 수치심 - 외부의 판단에 의한 결과 - 우리가 도덕-윤리 규범이나 관례를 깼다고 다른 사람들이 믿는다는 인식에서 비롯한 감정 - 남들이 자신에 대한 평가치를 낮췄을 거라고 생각(자신의 존재가치가 떨어졌다고 여기는) 죄책감 - 스스로 내린 판단의 결과 - 우리가 한 일이 잘못되어 후회스럽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느낄 때 드는 감정 부끄러움 - 사회적 규범에 맞지 않는 행동을 했을 때 생기는 감정 2024. 3. 15.
신경생물학적 이론 트라우마는 신경계의 반응으로 발생한다. 정확하게는 "자율신경계(ANS)" 자율신경계에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있다 교감신경계(SNS)는 투쟁, 도피 시스템 제어(위협이 있을 때, 행동할 수 있게, 생존에너지가 생성, 싸우거나 도망치거나 얼어붙거나) 부교감 신경계(PNS)는 보호를 지향 - 브레이크와 같은 역할 PNS에서는 복부 미주신경복합체(VVC)와 배측 미주신경복합체(DVC)가 있음 VVC가 작동하면, 사회적 연결감, 동정심, 현존, 호기심, 안전 DVC가 작동하면, '정지', 무감각, 무기력, 수치심, 갇힘, 해리 SNS 과도한 각성 : 불안, 과잉행동, 긴장을 풀 수 없음, 과잉경계, 소화문제, 만성통증, 정서적 홍수, 불면증, 적대감/분노 PNS 각성저하 : 우울증, 혼수상태, 만성피로, .. 2024. 3. 14.